깊은 향의 삼척 곤드레밥

삼척 곤드레밥은 강원도의 자연과 손맛이 어우러진 대표 향토음식으로, 청정 지역에서 자란 곤드레나물을 정성껏 손질하고 오래도록 불린 쌀과 함께 지어내는 밥입니다. 이 음식은 단순한 곁들임이 아니라 하나의 완성된 정식으로 자리매김하며, 투박하지만 깊은 풍미와 건강한 맛으로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곤드레나물 특유의 구수하고 은은한 향은 입맛을 돋우며, 장아찌나 된장찌개 등과 함께 정갈한 밥상을 완성합니다. 삼척 지역에서는 곤드레 수확 시기와 손질법에도 세심한 정성이 들어가며, 이는 전통의 가치를 고스란히 담아내는 방식이기도 합니다.
곤드레밥
 

곤드레의 뿌리 깊은 향토성

강원도 삼척은 깨끗한 산과 들이 어우러진 천혜의 자연환경을 자랑하는 지역으로, 이곳의 토양과 기후는 다양한 산나물의 생장을 돕습니다. 그중에서도 곤드레나물은 오랫동안 강원도의 식문화에서 특별한 자리를 차지해온 대표적인 나물입니다. 곤드레는 정식 명칭으로는 고려엉겅퀴라고 불리며, 봄철에 어린잎을 채취하여 삶아 말려두었다가 여러 방식으로 조리하여 먹습니다. 삼척 지역에서는 예로부터 봄마다 가족들이 함께 산에 올라 곤드레를 채취하고, 이를 손질하여 겨우내 먹을 양식으로 비축하는 전통이 이어져 왔습니다. 이러한 곤드레의 삶은 단순한 식재료를 넘어서 가족의 협동과 전통을 상징하는 문화이기도 했습니다. 곤드레나물밥은 곤드레를 단순히 나물 반찬으로 즐기는 것을 넘어, 쌀과 함께 밥을 지어내는 조리법으로 발전하면서 강원도 지역의 특색을 잘 보여주는 요리로 자리잡았습니다. 특히 삼척에서는 이 곤드레밥을 제사상이나 손님상, 가족의 중요한 식사 자리에 빠지지 않고 올렸으며, 그만큼 전통과 정성, 그리고 자연에 대한 감사의 마음이 담겨 있는 음식입니다. 시간이 흘러도 삼척의 주민들은 매해 곤드레 수확 시기가 되면 산과 들을 찾아다니며 정성껏 나물을 채취하고, 집집마다 곤드레밥을 지어 먹는 풍경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습니다. 곤드레밥은 그 자체로도 훌륭하지만, 곁들여지는 간장양념, 된장국, 무생채, 김치 등과 어우러질 때 비로소 완성되는 밥상으로 많은 이들의 입맛을 사로잡습니다. 자연 그대로의 식재료를 최소한의 양념으로 살리는 조리법은 현대의 웰빙 트렌드와도 잘 어울리며, 최근에는 관광객을 위한 향토음식 체험으로도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삼척 곤드레밥의 재료 준비부터 조리까지

삼척 곤드레밥은 단순해 보이지만 정성과 시간이 필요한 음식입니다. 신선한 곤드레나물과 잘 불린 쌀, 그리고 간장 베이스의 양념장까지 하나하나에 깊은 정성과 노하우가 담겨 있습니다.

  1. 곤드레나물 손질: 곤드레는 봄철, 어린잎이 나올 때 채취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채취 후에는 흙과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한 뒤 끓는 물에 살짝 데쳐냅니다. 이후 찬물에 헹궈 물기를 제거하고, 얇게 찢어 놓거나 먹기 좋게 썰어둡니다. 말린 곤드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루 전부터 물에 담가 충분히 불려야 풍미가 살아납니다.
  2. 쌀 불리기: 곤드레밥은 일반 쌀밥보다 더 찰지고 부드러운 식감을 위해 쌀을 최소 30분 이상 불리는 것이 좋습니다. 삼척 지역에서는 멥쌀과 찹쌀을 혼합해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곤드레의 식감과 잘 어울리는 탄력 있는 밥을 만들어줍니다.
  3. 밥 짓기: 불린 쌀에 곤드레를 고루 섞어 전기밥솥 혹은 돌솥에 넣고 밥을 짓습니다. 이때 소금간은 거의 하지 않으며, 곤드레 특유의 향을 살리는 데 집중합니다. 물의 양은 일반 밥보다 약간 적게 잡는 것이 좋습니다. 밥이 지어지는 동안 곤드레의 향이 퍼지며 집 안 전체가 고소한 냄새로 가득 차는 것이 인상적입니다.
  4. 양념장 만들기: 간장 3큰술, 참기름 1큰술, 다진 파 1큰술, 다진 마늘 약간, 통깨, 고춧가루를 섞어 양념장을 만듭니다. 이는 곤드레밥 위에 뿌려 먹는 역할을 하며, 감칠맛과 풍미를 더합니다. 지역에 따라 간장을 된장으로 대체하거나, 들기름을 추가하기도 합니다.
  5. 밥상 차리기: 완성된 곤드레밥은 넓은 대접에 담아 양념장을 곁들여 내고, 국으로는 된장찌개나 미역국이 함께 제공됩니다. 김치, 나물반찬, 무생채 등 소박한 반찬들과 함께 먹으면 질리지 않고 건강한 한끼가 완성됩니다.
삼척에서는 이 곤드레밥을 지역 축제나 체험마을 프로그램에서도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방문객들은 곤드레 채취부터 조리까지의 과정을 직접 경험하며 음식에 담긴 전통과 정성, 그리고 자연에 대한 경외심을 느낄 수 있습니다. 곤드레밥은 단순한 한 끼 식사가 아니라 지역 문화의 축약판이라 할 수 있으며, 그 안에 담긴 사람들의 손맛과 자연의 숨결이 고스란히 전해지는 음식입니다.


전통을 잇는 밥상, 곤드레밥의 가치

삼척 곤드레밥은 단순한 향토음식을 넘어, 강원도 주민들의 삶과 정서, 그리고 자연과의 조화로운 관계를 상징하는 음식입니다.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많은 음식들이 간소화되고 간편해지는 경향이 있지만, 곤드레밥은 여전히 제 모습을 지키며 우리 곁에 남아 있습니다. 이는 곤드레밥이 단순히 맛있는 밥이라는 이유만이 아니라, 그 안에 담긴 전통과 기억, 그리고 가족 공동체의 유대감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제 곤드레밥은 삼척을 넘어 전국적으로도 사랑받는 건강식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나물밥이 존재하지만, 곤드레밥이 유독 독보적인 이유는 곤드레 특유의 향과 질감, 그리고 자연 그대로의 맛을 살리는 조리법 덕분입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전통이 변함없이 이어지길 바라며, 우리 식탁에 건강한 자연의 맛이 계속해서 올려지기를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