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의 전통 간식인 찰보리빵
보리의 향기를 담은 경주의 전통 간식
경주를 여행한 이들이라면 한 번쯤은 기념품 가게나 전통시장 등에서 찰보리빵을 접해본 기억이 있을 것이다. 작고 동그란 빵 사이에 달콤한 팥앙금이 가득 들어간 찰보리빵은 단순한 먹거리를 넘어 경주의 지역 정체성과 오랜 전통을 품은 음식이다. 한국 전통 간식 가운데서도 비교적 역사가 짧은 편에 속하지만, 찰보리빵은 그 독특한 식감과 맛으로 전국적인 인기를 얻게 되었고 지금은 다양한 지역에서도 재해석되어 판매되고 있다. 찰보리빵이 처음 등장한 시기는 1930년대 후반으로, 일제강점기 경주의 한 제과점에서 탄생한 것으로 전해진다. 당시 쌀이 부족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대체 곡물로 사용되던 보리를 활용해 만든 것이 그 시작이었다. 흔히 ‘보릿고개’라는 말이 상징하듯, 한국 근대사에서 보리는 고난의 시대를 이겨내는 중요한 식재료였으며, 찰보리빵은 그런 시대의 흔적을 품은 음식으로도 해석된다. 이후 1970~80년대를 지나면서 관광객들을 위한 경주의 특산품으로 자리 잡았고, 현재까지도 지역 상점과 기차역, 휴게소 등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찹쌀과 보리의 중간 정도의 식감을 지닌 찰보리로 만든 빵은 일반 밀가루 빵보다 쫀득하면서도 담백한 맛이 특징이다. 그 속에 들어가는 팥앙금 역시 곱게 갈아 만든 전통 팥소로, 달지 않으면서도 고소한 맛이 일품이다. 최근에는 앙금 대신 녹차, 고구마, 밤 등을 넣은 퓨전 찰보리빵도 출시되어 다양한 소비자층의 입맛을 만족시키고 있다. 찰보리빵은 단순한 간식이 아니라, 경주의 역사와 문화를 담고 있는 상징적인 전통 먹거리인 셈이다.
찰보리빵의 재료 선택과 집에서 만드는 법
찰보리빵을 직접 만들어 보고 싶은 사람들을 위해 이 부분에서는 재료 선택부터 반죽, 굽기까지의 전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찰보리빵은 기본적으로 찰보리 가루를 주재료로 사용하되, 일부 밀가루와 혼합해 사용하면 더욱 부드러운 식감을 낼 수 있다. 여기에 팥앙금, 달걀, 설탕, 베이킹파우더, 우유 등을 더하면 완성도 높은 찰보리빵을 만들 수 있다.
- 재료 준비: 찰보리가루 150g, 밀가루 50g, 달걀 2개, 설탕 70g, 베이킹파우더 1작은술, 우유 100ml, 식용유 1큰술, 팥앙금 300g
- 반죽 만들기: 큰 볼에 달걀을 풀고 설탕을 넣어 거품기로 잘 섞는다. 여기에 우유와 식용유를 넣고 다시 고루 섞은 후, 체에 친 찰보리가루와 밀가루, 베이킹파우더를 넣고 주걱으로 가볍게 섞어 반죽을 만든다.
- 반죽 휴지: 반죽을 랩으로 덮어 10~15분 정도 휴지시킨다. 이는 글루텐이 안정되어 더 쫀득한 식감을 내는 데 도움이 된다.
- 속재료 만들기: 팥앙금은 적당한 크기로 나눠 동그랗게 빚어둔다. 시판 팥앙금을 활용해도 좋지만, 직접 만든 팥소를 사용하면 맛이 훨씬 부드럽고 깊다.
- 성형: 반죽을 숟가락으로 떠서 한 덩어리씩 팬 위에 올린 뒤, 중앙에 팥앙금을 올리고 그 위에 다시 반죽을 살짝 얹어 덮는다. 원형 모양을 유지하며 살짝 눌러 모양을 잡는다.
- 굽기: 170도로 예열한 오븐에서 약 10~12분간 굽는다. 색이 노릇하게 올라오면 완성. 오븐이 없는 경우 프라이팬에 약한 불로 앞뒤를 노릇하게 구워도 가능하다.
찰보리빵에 담긴 기억과 맛의 가치
경주의 찰보리빵은 단순한 빵을 넘어서는 의미를 지닌 음식이다. 쌀이 귀하던 시절, 민초들의 삶의 지혜에서 비롯된 찰보리빵은 시대의 어려움을 견뎌낸 역사적 산물이며, 그 속에는 한국인의 인내와 창의성이 담겨 있다. 지금은 경주를 대표하는 특산물로 전국적인 인지도를 얻고 있지만, 그 뿌리는 한 시대를 살아낸 사람들의 삶 속에 뿌리내린 것이었다. 또한 찰보리빵은 관광상품으로서의 역할도 충실히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도 일정 부분 기여하고 있다. 이처럼 한 지역의 음식이 가진 잠재력은 단지 맛에 그치지 않고 문화, 역사, 경제로 이어지는 복합적 가치로 확장될 수 있다. 찰보리빵을 단순한 간식이 아니라 하나의 ‘문화 콘텐츠’로 바라본다면, 우리가 전통을 보존하고 계승해야 할 이유는 더욱 분명해진다. 집에서도 손쉽게 만들 수 있는 찰보리빵은 아이들과 함께 만드는 가족 간식으로도, 손님 접대용 디저트로도 충분한 매력을 지닌다. 오늘, 따뜻한 마음을 담아 찰보리빵을 한 번 구워보는 것은 어떨까. 그 속에 담긴 이야기와 맛은 분명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것이다.